본문 바로가기
정치와 이론의 실제

한국의 선거제도

by 후닝훈 2021. 6. 30.
반응형

한국 선거제도의 변천사

1948년 제헌의회 선거부터 한 지역구에서 한 명을 선출하며 상대적 다수가 승리하는 단순대표제가 도입되었음. 2공화국 까지 변화 없이 채택.

1963년 군부는 새로운 선거법을 만들며 기존의 1위 대표제에 비례대표제(전국구)를 더한 혼합형 방식을 처음으로 도입. 의석 수의 1/4을 비례대표 (44), 3/4를 지역구(131) 선출

  - 비례대표제는 제1당이 50%이상을 득표하면 비례의석의 2/3을 배정하고 50%이하의 득표를 했을 경우는 1/2를 배정하는 방식으로 제1당에 과도한 혜택을 주는 매우 불평등한 제도였음.

  - 군부가 이러한 형식의 비례제를 도입한 이유는 제1당의 지위를 확고히 함과 동시에 야권이 단일야당으로 존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었음.

19718대 총선에서 야당의 약진에 놀란 군사정권은 제4공화국(197210월이후의 유신정권) 보다 비정상적인 방법을 택했음.

  - 비례대표제는 없어지고 전체 의석의 1/3을 사실상 대통령이 임명제 국회의원 유신정우회가 생김.

  - 중선거구(2) 제의 선거제도를 채택했음. 결과적으로 전국 73개 선거구에서 공화당은 모두 당선자를 배출했음.

  -그러나 유신말 1978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야당은 여당보다 더 많은 득표를 함

5공화국의 의석분배방식 또한 비록 여전히 여당에 유리하게 만들어졌음. 중선거제를 유지했으며 유정회 의원은 폐지했지만 전국구 의원의 2/3을 제1당에 우선적으로 배분하는 것을 유지.

6공화국의 의석배분 방식은 몇 차례의 변화를 거침.

  - 비례제 부분에서는 수차례의 변화가 있었음.

  - 198813대 총선을 앞두고 개정 선거법은 전국구 의석의 1/2을 제1당에 배분하는 방식을 채택. 나머지 의석의 배분도 득표율이 아닌 의석수의 비율로 배분.

  - 200417대 총선은 선거제도의 획기적인 전환. 우선 헌법재판소에 의해 11표제에 기반 한 지역구의원과 비례대표의원의 2중 선출은 위헌결정이 내려짐. 12표제가 채택되어 1표는 지역구에 다른 1표는 정당명부식의 비례대표에 투표하게 됨.

 - 202021대 총선부터 비례대표제가 준연동형 비례대표제로 개정.

 

국민 투표의 역사

공화국별 3 공화국 4 공화국 5 공화국
국민투표 1
(1962.12.17)
2
(1969.10.17)
3
(1972.11.21)
4
(1975.2.12)
5
(1980.10.22)
6
(1987.10.27)
내용 신헌법 승인 헌법 개정
(3선개헌)
유신헌법
승인
유신체제에 대한 신임(유신헌법) 신헌법 승인 신헌법 승인
정부형태 대통령제
강력한
대통령제

강력한 대통령제 대통령제
새헌법의
주요내용
-대통령 직선제
-국회에 전국구 의원제도 도입
대통령의
3선 허용
-대통령 간선제(통일주체 국민회의가 선출)
-국회의원 선거: 중선거구, 유정회 신설

-대통령 간선제(선거인단이 선출)
-국회의원: 중선거구 변형된 비례대표제
-대통령 직선제
-국회의원 선거: 소선거구

 

21대 총선 선거제도

- 지역구
소선거구 단순다수대표제를 채택
(의원정수 253).

-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

전국을 단위로 하며 지역구선거에서 5석이상의 의석을 차지한 정당과 비례대표선거 에서 유효투표총수의 3/100 이상을 득표한 정당에 대하여 연동형 비례대표제로 비례 대표의원 선출. (비례대표 의석 총 47석 중 30석은 정당득표율과 지역구 의석수에 따라 각정당에 배분(연동형), 나머지 비례 17석은 정당득표율에 따라 정당득표율에 따라 단순 배분(병립식)

 

21대 총선 비례대표

·도의회 의원선거

- 지역구

국회의원선거와 동일한 소선거구, 단순 다수대표제를 채택.

- 비례대표

·도를 단위로 하며 의원정수는 지역구의 10/100

비례대표는 정당별 비례명부제를 채택.

 

자치구··의회의원선거

- 지역구

하나의 시·도의회의원지역구 내에서 시·도 조례로 정하는 2인 이상 4인 이하로 선출하는 중선거구, 단순 다수대표제를 채택.

- 비례대표

자치구··군을 단위로 하며 의원정수는 자치구ㆍ시ㆍ군의원 정수의 10/100으로 정당별 비례명부제를 채택.

 

지방자치 단체장의 선거

단순 다수대표제를 채택, 만일 최고득표자가 2인 이상인 때에는 연장자가 당선인으로 결정.

, 후보자가 1인인 경우에는 투표를 실시하지 아니하고, 선거일에 그 후보자는 당선인으로 결정.

 

 

 

반응형

'정치와 이론의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랑스의 이원집정부제  (0) 2021.07.02
정치체제의 종류  (0) 2021.07.01
미국의 대선제도  (0) 2021.06.29
선거제도  (0) 2021.06.28
한국 정당법에 의한 정당의 성립, 소멸 관련 규정  (0) 2021.06.2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