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와 이론의 실제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1

by 후닝훈 2021. 6. 17.
반응형

 

행태주의 정치학

- 여론조사. 누가 당선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가능케 만듦. 하지만 미국을 중심으로 하기에 문제점이 있었음.

-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개량화. 유용화. (투표결과 등)

-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는 행태주의 연구방법을 적용시켜 만든 것임.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

- 1945년 이후 식민지의 많은 나라들이 독립이 되고 서구의 제도를 많이 받아들임.

- 제 3세계 나라들은 똑같은 제도를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민주주의가 실현이 되지 못함.

- 한국도 쿠데타를 겪었음.

- 서구의 학자들이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왜 잘 되지 않았는가? 문화가 어떻게 다르기에 이런가? 에 대한 연구로 시작됨.

- 기준점을 만들어 내고, 기준점을 가지고 여러 나라의 정치 문화를 연구를 하고, 정치 문화의 특징을 유형화 시킨것.

 

<영상 : 한국의 단식투쟁 정치문화>

- 나라마다 정치를 대하는 태도가 틀림

- 또한 연령대 별로도 다를 수 있다.

- 이는 학습을 통해서 얻어진다.

 

정치문화

정치문화에 대한 연구는 행태주의 정치학의 발전과 함께 활기를 찾음.

정치문화는 일정한 사회적, 정치적 단위에서 생활하고 있는 개인과 집단이 지니고 있는 정치와 관련된 모든 신념, 태도, 가치의 총체.

 

알몬드, 버바의 정치문화 연구 (1960)

정치문화에 대한 최초의 경험적이고 실증적 연구

이태리, 멕시코, 영국, 서독 등의 주민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통해 조사. 통계화. 계량화

AlmondVerba는 정치문화를 두가지의 기준을 놓고 연구하였다.

 - 정치적 대상:

   : 정치체계(국가나 정치제도)

   : 투입(정치적 요구. 시민들의 요구)

   : 산출(정책, 입)

   : 주체(정치적 행위자로서의 나의 태도. 개인)으로 구분

 - 정치적 태도 또는 정향 (정치적 대상에 대한)

   :  인지적 정향.

     사람들이 정치적 사실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정보 또는 그것에 대한 신뢰도 등을 의미.

     어떤 정치가 이루어져야 하는가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정치적 대상에 대한 지식과 인식.

      ex) 고양시의 국회의원은? 지식이 있는가)

   :  감정적 정향.

     사물에 대한 느낌과 감정. ex) 오세훈에 대한 선호)

   :  평가적 정향.

      자신이 알고 있는 사실과 정보, 감정적 지향 등을 바탕으로 그 사실에 대해서 일정한 판단을 내리고 행동하게 하는 종합적 성격을 의미.

     평가적 지향은 개인의 정치행위에서 최종적이면서도 종합적 성격을 의미한다. 

    정치적 대상에 대한 판단과 여론으로 구성.

 

연구에 있어 정치문화의 유형

지방형

- 정치적 역할이 전문화 되지 않음. 사회구성원들이 중앙정부에 대한 충성심, 소속감이 없다. 종족과 부족에 대한 충성심만 있다.

- 법이나 정책을 준수해야 하는 것도 알지 못함. 정치적 문제에 대한 시위, 주장 할 줄 모르는 것. 대통령과 총리의 차이점을 모르는 정도. 향미적 정치문화 라고도 번역됨.

신민형

- 과도기에 처한 권위주의, 전통적 군주제. 위로부터의 정치과정에 높은 정향성 아래로부터의 정치정향은 낮은 편.

- 행정 관료들이 무엇을 하는 지는 알고 있으나, 시민의식은 부재. 시민으로서 요구할 수 있는 권리를 알 지 못하나 밥이나 정책을 준수함.

참여형

- 민주주의, 영국, 미국의 정치문화

- 지향해야 하는 정치문화. 미국의 정치문화를 따라가야 함을 보여줌. 미국 중심적인 특성을 보여줌.

 

- 실제로 한 사회의 정치문화는 이러한 유형들이 혼합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다만 어떤 유형의 정치문화가 지배적인가가 중요.

- 예를들어 우리나라의 구세대는 신민형, 신세대는 참여형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