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정치학
• 1차 대전이 끝난 뒤 기존의 정치학에 대한 반성, 정치학은 당위의 학문이나 철학적 사유로만 한정될 수 없다는 주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정치학 연구의 과학화를 주장. 실용화. cf) 여론조사의 출시
• 심리학의 경이적 발달, 경험적 사실을 중시하는 사회과학계의 풍조, 실용주의와 개혁을 부르짖었던 정치운동 등에 자극과 영향을 받아 1930년대에는 행태주의 정치학이 시작.
• 행태주의 정치학은 1960년대와 1970년대 활발하게 발전 되었으나 학계에서 행태주의 정치학의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시되자 그 한계를 보완하여 1980년대부터 후기 행태주의 정치학이 발전 중.
행태주의 정치학
- 행태주의는 정치행위자나 행정행위자의 행태를 연구대상으로 함.
- 연구방법에서 자연과학적 방법을 통해서 과학화와 계량화를 중시.
- 가치판단을 배제한 실증적인 분석을 중시함 : 자연과학에서 어떠한 가치를 지향하지 않음. 감정적 개입을 배제. 가치중립적. 객관적 검증.
1. 정치학은 자연과학(특히 생물학)을 모델로 삼아 정치현상에 대한 설명을 하고 예측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이미 검증된 이론을 통해 체계적인 분석을 할 수 있다.
2. 정치학은 관찰할 수 있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한정해야 한다. (정의가 무엇인가? 선이 무엇인가? 같은 것은 불가능)
3. 자료는 가능하면 계량화 되어야 한다.
4. 정치학은 민주주의, 평등, 자유 등과 같이 가치, 옳고 그름을 다루면 안된다. > 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없다.
- 정치학 연구는 가치중립적이어야 한다. 정당성과 당위에 관한 문제, 그리고 도덕적, 윤리적 문제는 입증될 수 없고 재생산 될 수 없으며, 이와 관련된 정치적 명제들은 과학이 아닌 정치철학 분야에 속함.
5. 정치학은 순수연구 보다는 정치적 문제를 해결하고 발전적인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기여하는 응용연구의 성격을 지녀야 한다.
- 어떠한 정치인을 원한다 등.
행태주의 정치학은 1970~80년대 미국을 중심으로 정치학의 주류 접근 방법이었음.
행태주의 정치학에 대한 비판
- 행태주의 정치학에 대해서 고전적 정치학자과 해석학적 연구 방법론자들이 비판함.
- 해석학적 연구방법론자들은 원자단위나 화학물질은 아무런 변화의 여지가 없이 자연법칙에 따라 움직이므로 이것들은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장기판(chess board)에서 장기알(chess piece) 같이 단순히 조작될 수 있지만, 인간사회는 자연계와 달라 규칙성에 의해서 지배되지 않기 때문에 자연과학과 같이 엄밀한 방법과 이론을 적용할 수 없다.
인간은 자신의 의사에 따라 행위 한다.
하나의 원자가 다른 원자와 유사할 수 있는 반면, 인간의 상이한 역사, 문화, 그리고 경험은 그들의 행위와 그리고 그들의 행위에 따르는 의미에 대하여 모두 영향을 준다.
정치학의 연구에 있어 자연과학적인 객관성의 확립은 불가능하다.
해석학적 연구 방법론은 각 개인의 역사, 문화, 그리고 경험에 비추어 정치적 행동을 해석해야 한다고 함.
행태주의 정치학의 성과와 문제점
성과
행태론이 과학적인 인간행태 분석을 통해서 사회과학의 과학성을 진전.
- 투표의 결과, 제도의 문제에 대한 발전.
위와같이 미시적인 문제를 중요한 연구과제로 설정하고 발전시켰음.
문제점
- 사회문제나 정책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소홀함. 거시적인 관점의 문제에 소홀.
- 사회나 정책이 지향해야 하는 본질적인 가치(value)의 문제를 경시 또는 무시.
- ex) 흑인/백인의 인종갈등, 사회적 불평등 문제, 반전문제, 베트남 전쟁
- 이러한 문제는 가치에 대한, 평등에 대한 논의, 그에 맞는 정책이 필요했으나 가치중립, 과학적인 연구에만 치우친 나머지 사회문제에 대한 정책에는 등한시 하게됨.
- 정책을 만들 때 정치인들의 가치지향, 인간 평등이라든지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평등, 사회개혁 등에 대한 진보적 가치에 대한 입장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행태주의는 가치지향적인 것을 경시하고나 무시하는 특성이 있고 따라서 변화, 즉 사회개혁을 무시하고 현존의 기득세력의 기득권을 보유하려 하는 보수적 이론이라는 비판이 제기 되었다.
• 세계 2차 대전 이후의 냉전체제에서 비교정치학이 활발하게 연구됨. 비교정치학 연구에서 행태주의 방법론이 많이 적용되었는 데 비교 기준을 미국적 규범과 제도를 중심으로 다른 것을 평가하는 미국 중심주의의 한계성을 보여줌.
• 그래서 행태주의 정치학은 미국식 민주주의를 수용하고 지지하는 이데올로기적 기반이 되었다는 비판을 받음.
• 이러한 한계와 비판을 보완하는 후기 행태주의 방법이 발전
- 행태주의 정치학이 지나치게 논리실증주의만을 강조하고 있다는 비판을 인정하고 현실적인 사회문제 분석과 해결을 위한 가치지향적인 문제도 함께 연구.
- 그러나 기본적으로 행태주의의 연장선에서 그 결함을 보완하려는 노력을 했지, 이를 대치하거나 새로운 정치학에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정치와 이론의 실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1 (0) | 2021.06.17 |
---|---|
권력과 권위란? (0) | 2021.06.17 |
중세 정치학, 근대 정치학, 마키아벨리 (0) | 2021.06.16 |
정치학과 고대정치학,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0) | 2021.06.16 |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0) | 2021.06.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