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와 이론의 실제

정치란 무엇인가?

by 후닝훈 2021. 6. 16.
반응형

 

정치(Politics)의 어원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즉 폴리스(Polis) 내에서 아크로폴리스(신전)을 중심으로 활동을 하는데, 그것을 정치라고 지칭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은 정치적 동물

-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살아가는 것 뿐만이 아닌, 대화를 통해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선과 악, 부당과 정당을 인식할 수 있고, 정치 공동체를 만들었음.

- 정치적 동물인 인간이 폴리스라는 공동체의 선을 실현하는 일을 정치라고 지칭.

-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인간은 인간 이하 혹은 신같은 존재라고 하였음. 인간이기 위해서는 정치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

- 인간은 정치적 삶 또는 참여를 통해서 공동체의 선과 정의를 구현시키고자 하였으며, 인간은 공동체에서 정치적 삶 또는 참여를 통해 행복과 우수성, 가치를 성취하였다.

- 정치적 삶 또는 참여 : 대화와 논쟁을 통해서 타인과 함께 공동체에서 준수할 기준을 만들고, 정립된 법칙을 지키고 유지 시키는것.

- 선, 악을 구분, 부당함과 정당함을 구분할 수 있는 규칙을 만드는것.

결론 : 정치는 선한 목적의 규칙. 행동

 

프랑스 정치학자 뒤베르제

- 정치는 야누스의 얼굴이다.

- 정치는 어느시기, 어느장소에서나 서로 반대되는 가치와 관점을 아울러 가지고 있다.

정치의 사악함

- 정치를 권모술수, 교모한 기술로 보는 견해. 자신의 목적 달성을 위함

- 정치에 있어서 강제적이고 억압적 요소를 강조

정치는 무엇인가 선한것

- 정치는 공동사회 속의 모든 개인을 통합하여 정의의 공동체를 실현시키는 수단.

- 정치에 있어서의 공동사무의 합리적 처리를 위한 봉사적 기능과 자유의 요소 중시

결론 : 정치는 두 얼굴을 가진 것

 

어떠한 견해가 더 정당한가?

- 그 한편이 정당하면 다른 편은 잘못된 것처럼 모순, 대립의 관계에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두 견해는 모두 전적으로 잘못된 것이 없이 성립될 수 잇으며, 어느 것을 지지하는가는 그 사람의 사회적 입장에 달려있음.

- 두 요소간의 비중은 시대와 상황과 국가에 따라서 다르지만 항상 공존했다.

 

반응형

 

영국의 철학자 이사야 벌린

 "성공적인 정치인이 소유했으며 그들이 지식을 다른 모든 형태의 이성, 그리고 지식과 구분해 주는 지적 본질은 무엇인가?"

> "공공의 삶에 관한 특별한 이해이다. 성공적인 정치인이 그것을 가지고 있다. 그들이 사악하든 도덕적이든 간에."

" 실용적인 이성, 아마 어떤 것은 작용을 할 것이고 어떤것은 그러지 않을 것이라는 분별을 해내는 능력일 것이다."

" 이것은 분석을 하는 능력이라기 보다는 합성을 하는 능력(동물들의 조련사 처럼 잘 다룰줄 아는 능력. )"

- 디스마르크, 탈래랑, 프랭클린 루즈벨트 같은 사람들이 이러한 능력을 가졌음.

- 뉴턴, 아이슈타인, 러셀, 프루이드는 이러한 능력이 모잘랐음.

 > 지식이 많고 적음은 중요치 않았음.

결론 : 정치인은 실용적인 이성, 지혜를 가지고 있어야함.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다음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 - 정치적 관계에는 반드시 지배하는 사람과 복종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인데, 지배하는 사람들은 권력을 가지고 있고 권력을 행사하며 피지배자들은 지배자의 결정에

5sangs.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