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66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2 정치사회화(political socialization) • 정치적 태도와 행위의 방식을 학습하는 과정. • 정치공동체의 구성원이 사회에서 정치체계 일반, 정치과정, 정치기구와 그 대표에 대한 지식과 이와 결부된 감정과 태도를 습득하고 발전시키는 모든 공식적(수업), 비공식적(인터넷) 혹은 의식적, 무의식적 과정 • 정치문화로 유도하는 과정 정치사회화는 인생의 초기부터 시작하여 늙을 때까지 혹은 죽을 때까지 계속된다. - 초기단계 (대통령과 아버지는 무언가 다르다) - 유년기 (특정한 정치인이 나오면 좋아하거나 싫어함을 추상적으로 인지함. 부모님의 영향) - 청년기 (대통령은 무엇을 하는 사람인지, 경찰은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알기 시작함. 평균적으로 정치적 성향이 정해지는 시기. 보수 / 진보 등) - .. 2021. 6. 17.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 1 행태주의 정치학 - 여론조사. 누가 당선될 것인지에 대한 예측을 가능케 만듦. 하지만 미국을 중심으로 하기에 문제점이 있었음. - 자연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개량화. 유용화. (투표결과 등) -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는 행태주의 연구방법을 적용시켜 만든 것임. 정치문화와 정치사회화에 대한 연구의 출발점 - 1945년 이후 식민지의 많은 나라들이 독립이 되고 서구의 제도를 많이 받아들임. - 제 3세계 나라들은 똑같은 제도를 가졌는데도 불구하고 민주주의가 실현이 되지 못함. - 한국도 쿠데타를 겪었음. - 서구의 학자들이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왜 잘 되지 않았는가? 문화가 어떻게 다르기에 이런가? 에 대한 연구로 시작됨. - 기준점을 만들어 내고, 기준점을 가지고 여러 나라의 정치 문화를 연구를 하고, 정치.. 2021. 6. 17.
권력과 권위란? 권력(Power) 이란? • 전통적으로 정치학에서 권력은 상대방의 의사나 의지에 반해서 상대를 통제할 수 있거나 자신의 의사를 관철시킬 수 있는 직접적인 힘 또는 능력을 말한다. - 권력은 관계적 속성을 가지고 있다. 자신과 상대방->권력자(지배자)와 피지배자 - 권력은 상대방의 저항이나 갈등을 수반 하고, 상대방의 복종, 강제성을 얻어낸다. • 법에 의해서 보장받고 있는 영향력 ( 폭력. 비합법적) • 포괄적 의미에서 권력은 강제력뿐만 아니라 A가 상대적으로 자신에게 유리한 사회적, 정치적 가치와 제도적 관행을 새로 만들거나 강화하는 경우도 권력행사 라고 본다. • 즉 상대의 생각과 가치관을 형성하는 문화와 이데올로기적 요소에 영향을 미쳐서 상대방의 ‘동의에 의한 지배’를 이끌어내는 능력까지를 권력에 .. 2021. 6. 17.
현대정치학, 행태주의 정치학 현대정치학 • 1차 대전이 끝난 뒤 기존의 정치학에 대한 반성, 정치학은 당위의 학문이나 철학적 사유로만 한정될 수 없다는 주장이 강하게 나타났으며 정치학 연구의 과학화를 주장. 실용화. cf) 여론조사의 출시 • 심리학의 경이적 발달, 경험적 사실을 중시하는 사회과학계의 풍조, 실용주의와 개혁을 부르짖었던 정치운동 등에 자극과 영향을 받아 1930년대에는 행태주의 정치학이 시작. • 행태주의 정치학은 1960년대와 1970년대 활발하게 발전 되었으나 학계에서 행태주의 정치학의 문제에 대한 비판이 제시되자 그 한계를 보완하여 1980년대부터 후기 행태주의 정치학이 발전 중. 행태주의 정치학 - 행태주의는 정치행위자나 행정행위자의 행태를 연구대상으로 함. - 연구방법에서 자연과학적 방법을 통해서 과학화와 .. 2021. 6. 17.
중세 정치학, 근대 정치학, 마키아벨리 중세의 정치학 - 정치학은 대략 5세기(로마가 멸망한 후) 18세기 계몽주의가 등장하기 이전까지의 시기의 정치학을 말한다. - 교회가 권력의 중심에 있는 시대. - 인간 중심의 정치가 아니라 교회 중심의 정치. - 신과 인간의 관계는 수직관계, 종교가 중심이 되는 사회, 종교가 막강한 힘을 가지고 있는 사회에서 인간 위주의 정치란 발전 불가능. - 정치는 교회를 위한 것이었고, 교회에 위한 인간의 현실적 종속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 예를 들어 당시에 정치란 교황권과 왕권 사이의 관계에서 교황의 권력을 강화 시키고 왕권을 교회에 종속 시키기 위한 정치가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다. 대립관계. - 중세에서 인간이 중심이 되는 정치, 정치에 대한 학문은 발전될 수 없었고, 정치학의 암흑기라고도 불리움니다.. 2021. 6. 16.
정치학과 고대정치학,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정치학 - 정치학은 포괄적으로 말한다면 정치의 현상을 연구하는 학문 - 정치의 의미규정, 당위적 지향과 역할 수행 등을 논의하는 것이 정치학. - 가장 실용적인 학문, 판단의 학문, 특정한 상황과 환경 하에서의 행동을 지시하는 목적으로 하는 학문 - 어떻게 정치학의 대상과 관점이 바뀌었는가? 의 관점을 중요시하겠음. 고대 정치학 - 고대 정치학은 플라톤이나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사상가에 이끌어졌음. 또한 현재의 정치학의 관점과는 많은 차이가 있음. -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은 정치적 동물. - 폴리스에 사는 시민들의 정치적 삶 또는 참여를 중시. - 시민들은 함께 공동체의 정의와 선을 구현하기 위해서 대화와 논쟁에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 (도덕에 관하여). - 폴리스라는 도시국가는 일종의 도덕적, 윤리적 .. 2021. 6. 16.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 정치에 대한 다양한 정의 - 정치적 관계에는 반드시 지배하는 사람과 복종하는 사람들이 있기 마련인데, 지배하는 사람들은 권력을 가지고 있고 권력을 행사하며 피지배자들은 지배자의 결정에 복종한다. - 권력을 가지고 있는 지배자들이 그들의 결정에 대하여 피지배자들의 복종을 얻어내기 위해서는 피지배자들의 적극적이고 소극적인 동의가 필요하다. - 갈등 상황에서 누가 더 많이 차지하고 덜 차지하는 것인가를 결정해주는 것이 정치인데, 이러한 결정은 사람들이 납득할 수 있는 방법과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권위 피지배자의 동의를 획득하는 힘. David Easton 정치는 한 사회의 희소가치를 누가 언제 어떻게 무엇을 차지할 것인가를 결정할 수 있는 힘 가치의 권위적 배분이다. 로 정치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정의 사.. 2021. 6. 16.
정치란 무엇인가? 정치(Politics)의 어원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 즉 폴리스(Polis) 내에서 아크로폴리스(신전)을 중심으로 활동을 하는데, 그것을 정치라고 지칭 아리스토텔레스 - 인간은 정치적 동물 - 인간은 이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함께 살아가는 것 뿐만이 아닌, 대화를 통해 공동체의 이익을 대변할 수 있는, 선과 악, 부당과 정당을 인식할 수 있고, 정치 공동체를 만들었음. - 정치적 동물인 인간이 폴리스라는 공동체의 선을 실현하는 일을 정치라고 지칭. - 정치에 참여하지 않는 인간은 인간 이하 혹은 신같은 존재라고 하였음. 인간이기 위해서는 정치에 관심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 - 인간은 정치적 삶 또는 참여를 통해서 공동체의 선과 정의를 구현시키고자 하였으며, 인간은 공동체에서 정치적 삶 또는 참여를 통.. 2021. 6. 16.
크롤링 결과를 DB에 저장, Request 사용 크롤링 결과를 DB에 저장 import requests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from pymongo import MongoClient client = MongoClient('localhost', 27017) db = client.dbsparta # 브라우저에서 요청한 것 처럼 변경해줌 headers = {'User-Agent' : 'Mozilla/5.0 (Windows NT 10.0; Win64; x64)AppleWebKit/537.36 (KHTML, like Gecko) Chrome/73.0.3683.86 Safari/537.36'} #Ajax와 같은 기능 data = requests.get('https://movie.naver.com/movie/sdb/rank/rmov.. 2021. 6. 14.
반응형